반응형

C언어 24

[C언어] 12.파일 입출력 (fopen, fclose, fread, fwrite)

1. 파일 입출력의 기본 개념- 파일 입출력은 주로 파일을 열고 데이터를 읽거나 쓴 후 파일을 닫는 순서로 진행- 파일을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파일을 열어야 하며, 이를 위해 fopen 함수를 사용 - 파일 작업이 끝나면 반드시 파일을 닫아야 하며, fclose 함수 사용 fopen- fopen 함수는 파일을 열 때 사용하는 함수- 파일의 경로와 모드를 인자로 받고, 모드는 파일 읽기, 쓰기, 추가 등의 방식으로 나타냄- filename : 열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(경로)- mode : 파일을 열 때의 모드 > r : 읽기 전용으로 파일을 열고,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NULL 반환 > w : 쓰기 전용으로 파일을 열고,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 파일 생성, 존재하면 파일의 내용을 모두 삭제 한 ..

프로그래밍/C 2024.10.25

[C언어] 11. 구조체(Structure) (구조체와 배열, 구조체와 포인터)

1. 구조체- 구조체는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의 변수를 하나로 묶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정의 데이터 타입- 관련된 정보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자 할 때 유용- 학생의 이름, 나이, 성적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때, 이 정보를각각의 변수로 저장하는 대신 하나의 구조체로 묶어 관리  2. 구조체 선언- 구조체를 선언하려면 struct 키워드를 사용한 후, 구조체의 정의를 작성- Student라는 구조체를 선언 > 이름(name), 나이(age), 성적(grade)을 하나의 데이터로 묶어서 관리    struct Student {    char name[50];  // 학생 이름    int age;        // 학생 나이    float grade;    // 학생 성적};   3. 구조체 변..

프로그래밍/C 2024.10.24

[C언어] 10. 포인터 (포인터의 개념, 포인터와 배열, 포인터와 함수(Call by Reference))

1. 포인터의 개념 및 정의- 포인터(pointer)는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- C언어에서 메모리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기능- 일반적인 변수는 값을 저장하지만, 포인터는 그 변수의 위치(주소)를 저장하는 변수 포인터의 필요성- 함수 호출 시, 대용량 데이터를 복사하지 않고 메모리 주소를 통해 효율적으로 처리- 동적 메모리 할당 가능- 배열과 문자열을 효율적으로 처리- 포인터를 통해 더 복잡한 데이터 구조(ex: 링크드 리스트, 트리) 가능 포인터 선언 방법- 여기서 int *ptr;는 ptr이 정수형(int)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- * 기호는 해당 변수가 포인터임을 나타냄int *ptr; 포인터 변수 기본 예제int a = 10;int *p = &a;  // a의..

프로그래밍/C 2024.10.23

[C언어] 9. 함수

함수- 반복되는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든 코드 블록- 복잡한 문제를 작게 나누어 해결하기 쉬움- 함수의 선언은 main() 함수에서 사용 가능하지만, 선언은 main() 함수 안에서 할 수 없다.- 함수의 선언과 선언은 보통 전역변수로 많이 사용. 1. 함수 선언과 정의- 함수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, 선언과 정의라고 함 함수 선언- 함수 선언은 함수의 이름, 입력(인수), 그리고 반환 타입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주는 역할- 함수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포함되지 않음- 선언은 보통 함수의 헤더 부분에 위치하거나, 헤더 파일에 작성- 아래 선언은 add 함수가 두 개의 int a, int b의 값을 받아 add로 반환 함수 정의- 실제 함수의 동작을 작성하는 부분- 선언된 함수가 어떻게..

프로그래밍/C 2024.10.16

[C언어] 8. 1차원 배열 선언, 2차원 배열 선언과 사용법

배열-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처럼 관리할 수 있는 구조- 같은 타입의 변수들을 모아 놓은 일족의 "박스" 배열 선언- 배열 선언 방법- 아래 코드는 numbers라는 이름을 가진 배열을 만들고, 이 배열은 5개의 정수(int)를 저장데이터_타입 배열_이름[배열의 크기]int numbers[5]; 배열 요소 접근- 배열의 각 요소는 인덱스를 사용하여 접근- 인덱스는 0부터 시작, numbers[0]은 배열의 첫 번째 요소, numbers[4]는 마지막 요소  배열 사용 예시 출력  2차원 배열- 행과 열로 이루어진 배열- 엑셀과 같은 표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- 1차원 배열은 "리스트", 2차원 배열은 "표" 2차원 배열 선언 > 3행 4열 배열을 선언데이터_타..

프로그래밍/C 2024.10.15

[C언어] 7. 조건문 (if, if else, else if 문, switch 문) 응용 문제

서론조건문은 프로그램이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사용하는 것인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너어어어어무 중요하다.처음부터 잘 알고 가야한다. 1. if 문- 조건식이 참이면 {} 안의 코드가 실행 if문 예시- age라는 변수에 20을 설정하고 if()문 안에 조건식을 설정하여 age가 19세 이상이면 참이 되어 printf 함수가 실행   출력 2. if-else 문- if문의 조건이 참이면 if문을 거짓이면 else{} 안의 코드를 실행 if-else 예시- age가 19보다 크면 if문의 이 사람은 성인입니다.가 출력되고 19보다 작으면 else문의 이 사람은 미성년자입니다가 출력 된다. 출력 > 위의 예제에서는 age가 20으로 성인이 출력되지만 아래는 age가 18이기 때문에 미성년자가 출력 3. els..

프로그래밍/C 2024.10.11

[C언어] 6-2. 연산자 (증감연산자)

서론증감 연산자는 단순하면서도 어렵?다고 할 수 있고, 반복문에서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잘 알고 계셔야한다.  1. 전위 연산자 (Prefix)- 형식 : ++ 또는 -- > 전위 연산자는 먼저 변수의 값을 증가(++) 또는 감소(--) 시키고, 그 값을 사용 2. 후위 연산자 (Postfix)- 형식 : ++ 또는 -- > 후위 연산자는 변수의 값을 먼저 사용한 후, 나중에 증가(++) 또는 감소(--) 출력 예시 출력  3. 반복문에서의 사용- 증감 연산자는 반복문에서 자주 사용- for 반복문에서 카운터 변수를 증가 시키는 데 유용 반복문에서의 증감연산자 예시  출력

프로그래밍/C 2024.10.10

[C언어] 6. 연산자 (대입 연산자, 복합 대입 연산자)

1. 대입 연산자 (=)- 변수에 값을 넣을 때 사용- = 기호를 사용해,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- 프로그래밍에서,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상자와 같고, 상자에 값을 넣을 때 대입(=) 연산자 사용- 수학에서는 = 같다라는 의미이지만, 프로그래밍에서는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에 넣는다의 의미이다.  2. 복합 대입 연산자- 복합 대입 연산자는 대입(=)과 다른 산술 연산( +, -, *, /, %)을 결합한 것- 값을 변경할 때 더 간결하게 표현-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할 때는 변수가 먼저 값을 가지고 있어야 의미가 있다. 1. += 연산자 : 덧셈 후 대입- 변수에 특정 값을 더한 후 그 결과를 다시 변수에 저장- 누적하는 작업에 많이 사용 2. -= 연산자 : 뺄셈 후 대입-..

프로그래밍/C 2024.10.07

[C언어] 5. 연산자 (산술 연산자,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)

서론C언어에서 연산자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조작하는 도구이며, 연산자의 종류는 정말 많다.하나씩 포스팅 해보겠습니다. 산술 연산자 (Arithmetic Operators)- 기본적으로 숫자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연산자 1. 덧셈 연산자 +- 두 값을 더할 때 사용- ex) a + b는 a와 b를 더한 결과 반환 2. 뺄셈 연산자 -- 두 값중에서 하나를 다른 하나에서 뺄 때 사용- ex) a - b 는 a에서 b를 뺀 결과를 반환 3. 곱센 연산자 *- 두 값을 곱할 때 사용- ex) a * b 는 a와 b를 곱한 결과를 반환 4. 나눗셈 연산자 / - 첫 번째 값을 두 번째 값으로 나누는 연산- 주의할 점은, 두 피연산자가 모두 정수일 경우 결과도 정수로 나오며 소수점 이하가 버려짐- e..

프로그래밍/C 2024.10.04

[C언어] 4. 입출력 (printf, scanf, 문자 입력 및 출력)

서론printf와 scanf는 C언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입출력 함수로,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 받는데 사용되는 것이므로 아주아주 많이 사용한다. 1. printf - printf 함수는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- 출력할 형식을 지정해 줄 수 있다.- \n 은 줄바꿈을 의미하며, 출력 결과를 보기 좋게 만듦- %.2f와 같이 f 앞에 소수점 자릿수를 지정하여, 원하는 자릿수까지 실수를 출력 기본문법주요 형식 지정자- %d : 정수(integer) 출력- %f : 실수(float) 출력- %c : 문자(character) 출력- %s : 문자열(string) 출력 예시 출력 결과2. scanf- scanf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을 때 사용- %c로 문자를 입력 받을 때, 앞에 공백을 넣..

프로그래밍/C 2024.09.30
728x90